블서치 자차보험 자기부담금 / 자차보험 할증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슈

자차보험 자기부담금 / 자차보험 할증 알아보기

by ECONOMY-TREND 2024. 3. 21.

자차보험을 들지 말지 고민되시나요? 자차보험을 들기 전에 자차보험에 대해 잘 알고 계시는 것이 중요한데요.

 

 

오늘은 자차보험 자기 부담금 할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차보험_자기부담금_할증

 

 

 

1. 자차보험 자기부담금

자차보험은 자기차량손해보험의 줄임말로 피보험자동차(본인차)가 파손되었을 시 보상하는 보험입니다.

 

자차보험에는 '자기부담금'이라는 것이 있는데요. 자기부담금이란 피보험자동차에 생긴 손해액의 일정 비율(20~30%)를 본인이 부담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기부담금에도 최소금액과 최대금액이 한도로 정해져 있어서 최소 20만원~ 최대 50만원 정도까지 부담하게 됩니다.

 

만약 사고 시 수리비가 100만원이 나온 경우, 자차 자기부담금이 최소 금액인 20만원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자기부담금으로 20만원을 먼저 내고 나머지 80만원은 보험사에서 부담하게 됩니다. 

 

자차보험은 일단 사고가 나면 사고금액의(20-30%) 자기부담금을 지불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만약 사고 비용이 20만 이하라면 자차보험처리를 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자차보험 할증

자차보험의 경우 무사고라면 할증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무사고를 직전 3년 동안 오랫동안 유지하는 경우, 오히려 할인이 적용됩니다. 

 

 

자차보험은 할증 기준 금액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 50 / 100 / 150 / 200 만원 4구간이 있습니다.

 

한도가 낮으면 쉽게 할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보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운전자분들이 가장 높은 구간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보통 자차보험의 할증 기준은 200만원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자차보험이 할증되는 경우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손해액이 할증 기준금액을 넘어갔을 시 보험료 할증

즉, 50/100/150/ 200 보험에서 설정한 할증 기준 금액보다 많은 손해액이 나왔을 경우 할증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사고 수리 건수와 비례해 보험료 할증

손해액이 할증 기준보다 낮은 경우여도 보험료가 할증될 수 있습니다.

 

사고 건수에 따라 보험료가 할증되는 '사고건수요율제'가 자차보험에 적용되면서 할증한도 소액의 사고 수리도 건수에 비례해 보험료가 할증됩니다.

 

자차보험처리를 하게 하면 무사고시 적용되는 할인이 제외되다 보니 보험료가 좀 더 할증된다고 느끼게 되실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차보험처리를 하실 때는 소액보다는 어느 정도 사고 금액이 있는 경우(100만원 이상) 보험처리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자차보험이란? 자차보험 가입해야 하는 이유

자동차를 구매하게 되면 자차보험을 들지 말지 고민이 되는데요. 자차 보험에 꼭 가입을 해야 하는 걸까요? 오늘은 자차보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차보험이란? 자차보험이란? 자

114inform.com